fnctId=departmentIntro,fnctNo=1394
ECO1101 | 경제원론 1(Principles of Economics1) |
---|---|
경제학의 원리, 수요공급, 소비자이론과 생산자이론, 시장구조, 미시적 공공정책 등의 기초에 대해 미시적 분석방법론과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
ECO1102 | 경제원론 2(Principles of Economics2) |
---|---|
국민계정(GDP, 생산, 소비, 투자), 국가경제의 성장 및 변동, 화폐와 인플레이션, 개방경제와 환율 등의 기초에 대해 이론적 모형과 정책수단을 중심으로 소개한다. |
ECO2201 | 미시경제학(Microeconomics) |
---|---|
첫째, 효용, 생산성, 소비, 수요, 공급, 비용 등 미시경제학에 필요한 기본적인 개념에 대해 학습하고, 둘째, 소비자, 기업, 정부 등 경제주체의 의사결정에 대해 학습하며, 셋째, 기본 개념과 의사결정을 응용하는 것에 대해 학습한다. |
ECO2202 | 거시경제학(Macroeconomics) |
---|---|
국가경제 관점에서 장기 총산출(GDP) 증가에 대한 경제성장 모형 및 단기의 산출, 고용, 인플레이션 변동에 대한 경기순환 모형을 학습한다. 이들 모형을 통해 단기적으로 과도한 경기변동을 안정시키고 장기적으로 경제성장을 추구하기 위한 통화/재정정책 등 정부정책의 원리를 이해한다. |
ECO2211 | 경제정보분석(Analysis of Economic Information) |
---|---|
미시나 거시경제와 관련된 데이터를 주로 엑셀을 이용하여 요약하고 시각화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기본적인 통계학에 대한 이론수업과 전산 실습이 병행되며 경제원론과 통계학에 기초를 가진 학생들의 수강을 권장한다. |
ECO2212 | 계량경제학(Econometrics) |
---|---|
통계학 강의를 통한 기본 이론 및 적용능력에 기초하여, 경제학을 포함한 사회과학에서의 실증적 분석 능력 배양을 위하여 필요한 개념, 이론, 그리고 실제 적용능력을 심화하여 학습한다. |
ECO2221 | 경제학사(History of economics) |
---|---|
18세기 후반 사회 경제 현상에서 인과 관계와 보편 법칙을 찾기 시작하여 경제가 과학적 탐구의 대상이 되기 시작하였다. 이 무렵 전개된 사상과 이론의 체계를 고전파경제학이라고 부르며, 1870년대 이후 신고전파경제학과 구분한다. 1930년대 다양한 경기변동이론을 케인즈의 일반이론이 대체하면서 국민소득, 고용, 물가 등 총체적 경제변수를 새롭게 설명하는 거시경제학이 등장하고, 더불어 계량경제학이 발전하여 통계 분석이 경제학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본 강의에서는 이러한 변화의 배경과 과정을 살피고, 각 시기의 대표적 문헌을 함께 읽는다. |
ECO2222 | 경제사(Economic History) |
---|---|
인간이 경제생활을 영위하면서 오랜 시간에 걸쳐서 나타난 경제발전의 과정, 사회조직의 변화를 서양의 역사를 통해 살펴보면서 동서양의 차이와 공통성을 비교사적으로 살펴본다. |
ECO3203 | 소득분배론(Theories of Distribution) |
---|---|
소득분배에 관한 여러 이론들을 살펴보고 상대적 분배율, 부의 분배, 빈곤이론, 소득재분배, 복지국가, 경제성장과 소득분배, 한국의 소득분배 등 소득분배에 관련된 여러 이슈들을 공부한다 학생발표 및 토론은 제시된 주제에 대해 학생들이 연구하여 리포트 작성, 발표하고 이에 대해 토론한다. |
ECO3212 | 응용계량경제학(Applied Econometrics) |
---|---|
계량경제학을 활용하여 다양한 사회/경제 문제에 대한 인과적 추론방법을 배운다. |
ECO3213 | 금융계량경제학(Financial Econometrics) |
---|---|
본 과목은 시계열분석과 실증금융에 초점을 맞춘 학부 수준의 중급 계량경제학 과목이다. 본 강의는 거시경제학과 금융 분야의 실증적 분석의 기초가 될 수 있는 다양한 계량경제학 모형을 학습한다. ARMA모형, 단위근 테스트, VAR 모형, 공적분 테스트, VECM모형, GARCH(일반 자기회귀 조건부 이분산성) 등 주요 모델링 기술을 다루고 있다. |
ECO3243 | 경제학을 위한 프로그래밍(Programming for Economics) |
---|---|
본 강의는 여러 경제학 기초과목에서 배웠던 원리들을 수리적인 문제로 표현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해결함으로써 경제학의 기본 원리를 체득하고 프로그래밍 및 데이터 처리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본 강의는 Flipped Learning 강좌입니다. 주 1회 대면 강의(월요일 1:30-2:45pm)와 주 1회 녹화 강의(수요일 업로드)로 진행되며, 일부 주차에는 녹화 강의가 없습니다. |
ECO3271 | 후생경제학(Welfare Economics) |
---|---|
후생경제학이란 어떠한 정책이 사회후생에 도움이 되며, 사회적으로 바람직한지를 평가하는 경제정책의 경제학이라고 할 수 있다. 경제정책의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 사회후생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자원배분의 효율성과 공평성의 평가에 강의의 중점을 둔다. 후생경제학에 대한 이론적 학습을 배경으로 우리나라의 공공정책과 공공투자사업을 평가하고,합리적 대안을 모색한다. |
ECO3273 | 재정학(Public Finance) |
---|---|
시장경제에 대한 정부개입의 필요성, 재정정책 수단 및 평가, 정부실패의 문제 등을 살펴본다. 강의내용은 구체적으로 재정학의 의의와 성격, 우리나라 재정의 개관, 재정정책 평가의 원칙, 공공재의 문제, 공공선택의 이론, 외부성 및 환경정책, 소득분배이론 및 재분배정책, 사회보험제도, 정부지출의 비용편익 분석, 조세의 기본원리, 재정적자와 국채, 공공요금의 결정원리 등으로 구성된다. |
ECO3305 | 현대경제학(Modern Economics) |
---|---|
졸업을 앞둔 4학년에게 경제학 학습을 종합하여 경제학의 여러 이슈들을 기본원리 수준에서 폭넓게 검토하며, 이를 영어로 발표하고 토론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학생들은 팀별로 2회의 발표기회를 가짐. 주요개념 및 원리의 요약에 중점을 두고 현실경제문제에 대한 종합적 판단력을 배양하도록 한다. 강의, 발표, 토론을 영어로 진행하고, 중간, 기말 시험도 영어로 실시한다. |
ECO3306 | 경제문제연구(The Analytic Study for Economic Problems) |
---|---|
This class will be seminar type class where students will actively participate in analyzing economic situations. Economic situations will include economic activity related to the Korean economy, Asian economies, and the global economy. There is no required textbook in this class. 25% of class will be lecture and 75% of the class will be students actively engaged in economic analysis of situations and problems. |
ECO3307 | 시사경제(Current issues in economy) |
---|---|
우리나라와 글로벌 경제의 현재 상황 및 추세를 거시적 측면부터 미시적 측면까지 이해하고 분석하며 전망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ECO3313 | 수리경제학(Mathematical Economics) |
---|---|
경제이론의 근간이 되는 수리적 최적화와 균형분석에서 수리적 추론의 역할과 방법을 학습한다. 정태적 최적화와 동태적 최적화로 크게 구분하되, 불확실성, 게임 상황, 일반균형으로 다시 구분하고, 수학적 기법을 중요한 경제이론과 대응시켜서 배우고 적용한다. |
ECO3325 | 한국경제사(Economic History of Korea) |
---|---|
먼저 조선전통사회의 구조적 특징을 검토한다. 조선 후기 이후 개항, 일제시대, 해방 후 50년대까지의 한국경제의 발전과 사회경제구조의 변화과정을 분석하고 60년대 이후의 공업화과정과의 연속성과 단절성을 이해하도록 한다. 한국 전통사회와 근대의 경제발전과정은 서구와는 다른 패턴을 가지고 있고, 또한 동아시아의 3국 즉 일본 중국 한국은 근대화과정에서 상호간의 일정한 연관성 하에서 근대화를 이루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한국경제사의 아시아적 특징과 근대화과정에서의 그 구조적 특수성을 이해하고자 한다. |
ECO3326 | 동아시아경제론(East Asian Economy) |
---|---|
동아시아 3국은 개성적인 전통사회를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흔이 생각하는 이상으로 세계사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면서 발전하여 왔다. 16세기 이후 서세동점의 과정에서 이들 3국이 가지고 있던 공통점과 차이점 그리고 그 변화의 방향을 검토하고자 한다. 한편 제국주의 시대에 접어들면서 동아시아 3국은 상호간에 대립적인 관련성을 가지고 있었는데 그 과정의 갈등을 살펴보고 그 이후의 발전과정을 검토한다. 그리고 2차대전이 종결되고 일본의 고도성장과 그에 이은 한국의 발전, 그리고 중국의 개혁 개방이 이루어지면서 동아시아 |
ECO3333 | 국제금융론(International Finance) |
---|---|
개방경제의 기본원리, 국제금융시장의 메커니즘, 국제금융체제 등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과 자본이동의 자유화, 국제금융체제에 관련된 주요 이슈들을 이해하는데 초점을 두고 진행된다. 세부적인 강의내용으로 국제금융시장의 현황 및 주요 상품, 개방거시경제 모형과 국내외 불균형 조정을 위한 정책수단 등을 포함한다. |
ECO3334 | 글로벌경제론(Global Economy) |
---|---|
과학기술 및 교통통신의 발전, 세계경제의 통합 확대로 세계통상환경의 변화 속도가 빨라지고 있으며, 민감한 경제통상 현안이 제기되고 있다. 본 과목에서는 현대 세계경제 및 주요 지역경제의 주요 경제통상현안을 고찰하고, 이에 대한 이해 및 해결방안을 경제이론으로 모색하는 것이 주요 강의 내용이다. |
ECO3335 | 경제통합론(Theory of Economic Integration) |
---|---|
경제통합론은 제2차 세계대전이후 진행된 지역경제 및 국제경제의 통합론에 대한 과정과 통합이론을 강의하는 과목이다. 지역내, 국제간 및 다자간 경제통합의 이론, 역사 및 현실을 종합적으로 강의하고자 한다. 과거 경제통합론 과목은 주로 유럽통합 과정과 이론이 주요 대상인 반면, 본 과목에서는 전세계 주요 경제통합 과정과 배경 등을 심도있게 강의함으로써 수강생들이 세계경제 통합의 전반적인 내용을 섭렵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
ECO3337 | 국제무역론(International Trade) |
---|---|
본 과목은 국제무역이론 위주로 강의하며, 주요 내용은 국제무역의 중요성, 국제무역 이론, 국제무역의 이해득실, 국제무역의 방향, 교역조건의 결정요인, 무역정책의 경제적 효과 및 세계경제 통합 등이다. |
ECO3341 | 산업조직론(Industrial Organization) |
---|---|
장 구조 및 기업간 경쟁과 기업 전략의 결과로 나타나는 시장성과(Market Performance)를 평가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전통적인 산업조직론 강의와 함께 특정 분야의 산업 또는 자료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프로젝트를 병행한다. |
ECO3342 | 정보경제학(Information Economics) |
---|---|
경제적 재화의 관점에서 정보의 이해, 최근의 정보 활용 이해 (빅데이터 이해), 정보와 관련된 경제 및 시장에서의 흐름 분석 등을 결합적으로 강의한다. |
ECO3343 | 노동경제학(Labour Economics) |
---|---|
실업과 고용, 가계의 노동공급, 기업의 노동수요, 노동시장 구조 및 임금결정, 최저임금, 인적자본 및 교육의 역할, 노사관계 등을 이론적으로 고찰함으로써 현실경제에 대한 이해력을 높인다. |
ECO3344 | 기술경제론(Economics of technology and innovation) |
---|---|
연구개발 및 기술 혁신, 기술의 발달 등 기술과 관련된 핵심 이슈들이 갖는 경제학적 의미들을 살펴보고, 이들을 경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기 위한 주요 분석도구와 이론적 모형, 실증연구, 사례와 그로부터 도출된 정책적 시사점들을 강의한다. |
ECO3345 | 디지털경제론(Understanding Digital Economy) |
---|---|
최근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정보통신기술, ‘디지털경제’ 및 그로 인해 초래되는 사회경제적인 현상에 대해 경제학적인 체계 및 틀을 바탕으로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강의는 구체적으로 통신산업에 대한 이해, 디지털 재화(digital product)의 특성 및 공급 전략, 인터넷 비즈니스의 특징 및 구조, 전자상거래 시장, 공급자 및 소비자에 대한 분석 등을 포함한다. |
ECO3346 | 행동경제학(Behavioral Economics) |
---|---|
기존 경제학의 표준적인 모형에서 벗어나서 심리학적인 특성을 반영하여 경제현상을 설명하는 행동경제학의 여러 분야에 대해 학습하고, 직접 실험을 수행한다. |
ECO3347 | 게임이론(Game Theory) |
---|---|
시장에서 여러 행위 주체들의 상호작용을 보다 엄밀한 분석을 통하여 설명하는 학문 분야이다. 기존의 설명방식과는 다른 분석틀을 이용하는 게임이론의 학습을 통해 다양한 사회경제적 현상을 이해하는데 보다 풍부한 도구를 제시하고자 한다. |
ECO3348 | 젠더경제학(Economics of Gender) |
---|---|
경제학적 관점에서 성별간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초적 경제 이론과 실증분석 결과를 통해 성별간 차이가 어떻게 소득, 빈곤율, 노동 시간 등의 경제변수에 영향을 주는지 이해한다. 또한 여성의 후생 증진을 위한 정부 및 기업복지 정책의 효과를 평가한다. |
ECO3349 | 법경제학(Law and Economics) |
---|---|
법경제학은 최근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경제학의 한 분야로서 법과 경제학 사이의 학제적 연구의 성격을 지닌다. 본 강좌에서는 미시경제학의 분석도구를 이용하여 경제학이 다양한 법제도 및 법리를 이해하고 사회제도를 디자인하는데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전통적인 법경제학의 주제인 반독점법과 규제 뿐만 아니라 최근의 법경제학에서 활발히 논의되는 재산권법, 계약법, 불법행위법, 형법 등의 영역에 적용하여 본다. |
ECO3352 | 자원환경경제학(Resource and Environment Economics) |
---|---|
기존의 공급확충보다는 수요관리 위주의 분석을 통하여 지속적 개발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며, 지속적 개발에 부응하는 자원 및 환경정책을 다룬다. 독자적인 연구수행능력의 향상을 위하여 주요 연구논문 및 연구방법을 소개한다. |
ECO3353 | 지역경제학(Regional Economics) |
---|---|
단위공간 내 또는 단위공간 간에 발생하는 재화와 용역의 생산, 소비, 분배 등 다양한 경제활동에 대한 분석과 이해를 주요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산업입지론, 지역성장론, 지역개발정책 등 지역경제와 관련된 다양한 이슈들에 대한 이해력을 높이고, 지역경제 현상을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고자 한다. |
ECO3361 | 화폐금융론(Money and Banking) |
---|---|
통화와 중앙은행, 금융기관, 금융시장의 역할에 대해 미시, 거시적인 관점에서 모두 접근한다. 화폐의 기능과 역사, 채권시장과 주식시장의 원리, 화폐의 수요와 공급, 전통적/비전통적 통화정책, 금융감독정책, 금융기관의 구분, 기능 및 주요 현안에 대해 소개한다. |
ECO3362 | 금융투자론(Financial Investments) |
---|---|
금융자산의 가격결정방식과 위험관리전략을 이해하는데 초점을 두고 진행된다. 세부적인 강의내용으로는 주식 및 채권의 가격결정, 금융자산포트폴리오의 위험관리, 파생금융상품의 가격결정 등을 포함한다. |
ECO3363 | 금융경제학(Financial Economics) |
---|---|
자산가격결정(asset pricing), 위험현금흐름가치평가(valuation of risky cash flows)를 중심으로 불확실성하의 합리적인 투자의사결정을 이해하는데 초점을 두고 진행된다. 평균-분산기준(mean-variance criterion), 자본자산가격결정이론(CAPM), 소비자본자산가격결정이론(CCAPM), 애로우-드브루이론(Arrow-Debreu Theory), 무위험차익거래가격결정이론(Arbitrage Pricing Theory) 등의 포트폴리오이론을 포함한다. |
ECO3374 | 조세론(Tax Theory) |
---|---|
본 강의는 조세의 기본원리 및 조세가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이론적으로 학습하고, 우리나라의 조세제도를 효율성과 공평성의 측면에서 평가한다. 조세론의 연구방법, 조세의 개념과 분류, 조세부과의 근거, 조세의 경제적 효과, 조세지출제도, 바람직한 조세체계의 기준, 조세귀착의 이론, 최적조세이론 등 조세이론을 학습한 후 소득세, 법인세, 소비세, 재산세 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
ECO3375 | 복지경제학(Welfare Economics) |
---|---|
본 강의를 통해 학생들은 국민연금, 건강보험, 산재보험, 고용보험,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등 우리나라의 사회보장제도를 효율성과 형평성의 관점에서 평가할 수 있는 지식을 습득한다. |
ECO3376 | 바이오헬스경제학(Health Economics) |
---|---|
"바이오헬스경제학"은 보건의료 분야에서 경제이론의 원칙과 응용을 다룬다. 이 과목에서는 보건의료 서비스, 건강보험 시장 및 의료보장 정책과 관련한 경제적 특성을 다루며 보건의료 분야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논의한다. |
ECO3381 | 경제발전론(Economic Development) |
---|---|
후진국 저발전의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타개하기 위한 국내적, 국제적 전력과 정책을 모색한다. 특히 1997년 아시아 경제위기 및 2008년 세계적 금융위기 이후 개도국의 발전전략을 검토한뒤, 발전경제학의 미래를 조망해 본다. |
ECO3382 | 한국경제론(Korean Economy) |
---|---|
해방 이후 한국경제의 발전과정과 그 특징을 분석한다. 먼저 해방 이후 1950년대의 한국자본주의 초기조건 형성과정을 살펴본다. 이후 1960년대 이후의 고도성장과정의 논리와 그 특징을 중점적으로 검토한다. 특히 1960년대 이후 성장과정의 전략적 특징, 시기별 변모, 그리고 당면한 부문별 과제 등을 검토한다. 나아가 2000년대 이후의 새로운 도전 즉 경제의 선진화와 민주화를 달성하기 위한 과제들은 무엇인가를 분석한다. |
ECO3383 | 경제체제론(Comparative economic Systems) |
---|---|
아담 스미스는 경제성장의 원천인 분업과 교환은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가장 잘 조정되므로 자유방임경제를 강조하였다. 이러한 시장경제이론은 그 후 많은 찬성과 반대의 대상이 되었으며, 1980년대에 새로운 전기를 맞는다. 로널드 코스에 의하면, 시장거래는 때로 많은 비용을 수반한다. 그리고 기업의 존재이유는 장기적 계약을 통해 거래비용을 줄이는 것이다. 이러한 거래비용이론은 제도경제학이라는 새로운 학문 분야를 만 들어내었다. 시장경제이론과 거래비용이론은 우리 나라의 재벌에 관한 논의에서 자주 원용된다. |
ECO3385 | 정치경제학(Political Economy) |
---|---|
주류경제학과 대비되는 파라다임으로서의 정치적 경제학의 방법론과 주요개념 및 그 분석틀을 통해 자본주의의 경제법칙과 그 현실적용에 대해 고찰한다. 주요 이슈에 대한 이론적 접근을 실시한다. |
ECO3386 | 경제학과 문제해결(Economics and Problem Solving) |
---|---|
본 강좌는 경제학의 이론 및 실증분석의 방법론을 응용하여 기업의 실제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학생들은 교수의 지도에 따라 팀을 구성하며 기업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구체적인 과제를 수행하게 된다. |
ECO3387 | 경제성장론(Economic Growth) |
---|---|
경제 성장이란 실질 국민 소득의 증가를 말한다. 경제 성장과 국가마다 다른 실질 국민 소득을 경제이론과 실증분석에 기반하여 탐구한다. 이 과목은 인구 증가, 물적/인적 자본의 축적, 기술진보, 자원, 문화 등 경제 성장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소들도 함께 살펴본다. |
ECO4391 | 경제이론세미나(Seminar in Economic Theory) |
---|---|
과학적 탐구방법, 가설과 연역의 중요성, 통계적 검증의 원리를 검토한 후, 화폐금융현상을 비롯한 경제학 일반의 여러 가지 논점, 논쟁들을 세미나식으로 강의하고 수강생 개인별 논문작성을 지도한다. 수강 학생은 연구주제를 자유롭게 선택하되, 적어도 일회 이상 자신의 연구 성과를 발표할 것이 요구되며, 이와 더불어 다른 학생의 발표의 토론에 적극 참여하여야 한다. |
ECO4392 | 경제정책세미나(Seminar in Economic Policy(Capstone Design)) |
---|---|
우리 나라의 1인당 에너지소비는 이미 OECD 국가 수준에 도달하였지만 에너지소비 증가율이 월등히 높아 곧 이들 국가 수준을 능가하게 되어 국제적으로 압력을 받게 될 것이다. 특히 온실가스 배출저감을 약속한 교토의정서의 발효에 따라 우리 나라도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 배출저감정책을 추진하여야 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우리 나라는 아직 에너지절약 및 온실가스 배출저감 잠재량을 제대로 파악하지 목하고 있다. 이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게 부문별 과제를 심층할 수 있는 장으로서 본 세미나를 진행한다. |
ECO4393 | 경제학 진로세미나(Future Career Perspectives for Economics Major Students) |
---|---|
이 과목은 경제학을 전공한 학생들을 위한 취업지도 과목이다. 경제학과 졸업자가 취업하는 빈도가 높은 직업에 대한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취업의지를 높이고, 이른 취업 탐색을 독려함과 동시에 실제 구직활동에서 필요한 스킬을 훈련한다. 이를 위해 이 수업에서 하는 활동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경제학을 졸업하고 여러 직종에 취업했을 때 실제로 무슨 일을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토론하는 것, 둘째, 현재 그 직업/직종을 가진 사람들을 초청하여 그 직종의 현재와 미래, 현업의 고충과 보람을 듣는 것, 마지막으로 구직 활동 시 필요한 자기소개서 작성 스킬, 면접 스킬을 훈련하는 것이 그것이다. |
GEB1107 | 의사소통 영어(English Communication: Pre-Intermediate) |
---|---|
학생들이 미래의 학술연구와 업무 수행에 능동적이고 창의적으로 대처하는 데 필요한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초급 수준의 영어 교과목으로 다양한 학생 중심의 활동을 통해 영어로 의사소통하는 기술을 익히고 연마한다. |
GEB1108 | 의사소통 영어: 중급(English Communication: Intermediate) |
---|---|
학생들이 미래의 학술연구와 업무 수행에 능동적이고 창의적으로 대처하는 데 필요한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중급 수준의 영어 교과목으로 다양한 학생 중심의 활동을 통해 영어로 의사소통하는 기술을 익히고 연마한다. |
GEB1109 | 의사소통 영어: 고급(English Communication: Advanced) |
---|---|
학생들이 미래의 학술연구와 업무 수행에 능동적이고 창의적으로 대처하는 데 필요한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고급 수준의 영어 교과목으로 다양한 학생 중심의 활동을 통해 영어로 의사소통하는 기술을 익히고 연마한다. |
GEB1112 | 크로스오버 1 : 인간의 탐색(Crossover Course 1: Humanities) |
---|---|
인문학은 학문의 영역인 동시에 모든 인간의 마음속에서 쉼 없이 역동하는 원초적인 탐구정신이다. 그것은 자기가 어떤 존재인지를 이해하고 나아가 어떤 존재로 살아갈 것인지를 결단하려는 인간의 근원적인 욕구에서 출발하여, 문학, 역사, 언어, 사회, 도덕, 문화와 예술 등 인간 정신의 다양한 산물에 대한 성찰로 전진한다. 이런 인문학의 정신은 자연을 이해함으로써 그것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지배하려는 과학기술의 정신과 상호보완적 관계에 있다. 이 강의는 특히 이공계의 학생들을 주된 대상으로 삼아 이처럼 중요하고 필수적이면서도 결핍되어 있기 쉬운 인문학적 정신을 자기 자신에게서 발견하도록 유도한다. 강의에서 수강자는 자아, 공동체, 옳고 그름, 학문, 예술 같은 인문학적 주제들에 대해 읽고, 생각하고, 묻고, 그리고 생각한 것을 말하거나 글로 쓰는 연습을 하고, 이런 과정을 통해 인문학적 지식과 더불어 인문적 감각을 갖추게 될 것이다. |
GEB1113 | 크로스오버 2 : 자연의 탐색(Crossover Course 2: Natural Sciences and Computer Science) |
---|---|
인문계열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자연과학 및 IT의 기본 개념과 관련 현상을 이해할 수 있는 기초지식을 제공함으로써 현대과학기술 사회에서 요구되는 자연과학적 소양을 함양하고자 한다. 아울러 융복합 학문에 대한 기초적 이해에서 전공학습 설계능력의 토대가 함양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수학, 물리, 화학, IT 분야가 우리의 생활과 얼마나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지를 탐구하고 이와 관련된 현대사회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종합적 사고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GEB1117 | 커리어 디자인 1(Career Design 1) |
---|---|
본 교과목은 신입생들이 바람직한 가치관을 정립하고,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신입생 대상 기초교과목이다. 본 교과목은 학생들이 가치 있는 삶의 목적을 수립하고, 성실한 자세로 도전하여 미래를 열어나가는 데 역점을 두며(온라인 인성교육), 자신의 적성과 능력을 토대로 졸업 후의 경력을 수립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오프라인 진로교육). |
GEB1126 | 문제해결을 위한 글쓰기(Writing and Problem Solving) |
---|---|
현대 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해 학술적 글쓰기 및 실용적 글쓰기의 이론과 방법을 익힌다. 이를 바탕으로 글쓰기와 말하기 능력을 실습을 통해 향상시켜 대학에서의 학습을 효과적으로 하고 사회에서의 활동을 능독적으로 할 수 있는 교양인을 양성하는 데에 강의의 주안점을 둔다. |
GEB1141 | 미래사회와 소프트웨어-인문사회계열(Software and the Future Society-for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
미래사회의 필수역량으로 강조되고 있는 컴퓨팅적 사고력은 여러 학문 분야의 창의적 생각들을 융합의 바탕위에 실현하기 위한 기본적 소양이다. 컴퓨팅적 사고를 기반으로 우리 생활에 밀접하게 위치하고 있는 다양한 IT기술과 정보환경을 이해하고 나아가 전공 기반위에서 새로운 융합 기술을 창조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강의는 빅데이터, 인공지능, 스마트 모빌리티, 가상·증강현실, 사물인터넷, 정보보호 등의 주제를 통해 그러한 능력 배양을 위한 토대를 제공한다. |
GEB1151 | 커리어 디자인 2(Career Design 2) |
---|---|
- 취업시기 도래 이전에 직무선정 및 커리어 설계의 중요성 인지를 통한 취업경쟁력 강화 - 전공맞춤형 직무선정과 산업 및 기업의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한 적절한 취업시기에의 취업성공 도모 - 구직스킬 향상을 통한 채용시장에서의 학생(지원자로서)의 장/단점 파악 |
SOS1905 | 경제수학(Mathematics for Economics) |
---|---|
이론적인 수학적 접근 보다는 다양한 실제 사례 적용을 통해 경상수학을 쉽게 배우는 데 주력함. 심화학습 보다는 기초개념을 정립하는데 주력하며 심화학습을 원하는 학생들은 부교재를 참고하기 바란다. 실물경제에서 접하게 되는 수학적 개념과 관점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경영학 및 경제학에서 사용되는 주요 모형을 소개한다. |
SOS1906 | 통계학(Statistics) |
---|---|
통계학의 기초지식 및 이에 대한 응용능력을 습득함으로써 실생활에서 접하는 각종 통계를 바르게 해석하고 적용하는 방법을 익힌다. 통계학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수학적 접근보다는 직관적 이해 및 예시를 중심으로 진행한다. |